Divide and Conquer VS Dynamic Programming
동적 프로그래밍과 분할 정복을 비교하기 전 두 알고리즘의 개념을 먼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나 또한 이 두 알고리즘을 처음 접했을 때, 둘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알고리즘의 개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각각의 알고리즘을 구현해보려고 한다.
참고 자료
코딩 테스트를 위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with C++(개인 소장)
저자 : 존 캐리, 세리안 도시, 피아스 라잔 지음
Aligorithm
자료구조는 다양한 방식의 데이터의 저장 빙식을 의미하며, 그 안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결정한다. 그러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방법 외에도 계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변환하는 방법도 프로그램의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주어진 문제가 있을 때, 데이터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데이터 변환 순서는 일련의 명령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동작의 효율성
문제 정의에 대한 필요한 것들을 인자로 받고, 일련의 변환을 수행하여 결과를 출력한다. 이 때 해당 알고리즘의 좋고 나쁨은 알고리즘 동작의 효율성에 의해 결정된다.
입력 크기에 따른 알고리즘 수행 단계 변화
알고리즘 수행에 필요한 단계 수를 입력 크기에 대한 함수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복잡한 알고리즘일수록 입력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단계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그리고 일정 크기 이상의 입력에 대해서는 최신 컴퓨터로도 실행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불가능한 예
초당 100만개의 연산을 수행하는 컴퓨터가 있다고 가정하자.
NlogN의 연산 횟수를 필요로 하는 알고리즘은 입력 크기가 50이면 283 마이크로초가 소요되는데 비해 N^2의 연산 횟수를 필요로 하는 알고리즘은 입력 크기가 50이면 2500 마이크로초가 소요된다.
최악의 경우 N!의 연산횟수를 필요로 하는 알고리즘은 대략 9.6442457e+48세기(Aniversary)가 소요된다.
Divide and Conquer
분할 정복은 주어진 문제를 작은 부분 문제로 나누고, 나눠진 각 부분 문제릐 솔루션을 구하고, 각 부분 문제 솔루션을 합쳐서 전체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구하는 방법이다.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예
현재 널리 알려진 많은 알고리즘이 이 분할 정복 유형에 속한다. 대표적으로 이진 탐색, 병합 정렬, 퀵 정렬, 힙 정렬, 빠른 정수 곱셈, 고속 푸리에 변환, 스카이 라인 알고리즘 등이 있다.
이진 검색
일반적인 검색 문제를 생각해보자.
정렬되어 있는 정수 시퀀스가 있고, 정수는 고객의 ID이다. 이때 특정 고객의 ID를 찾아야한다면 우리는 어떤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을까?
가장 먼저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은 전체 원소를 방문하면서 해당 원소가 우리가 찾는 원소와 같은지 확인하는 것이다.
코드를 살펴보자
def linear_search(A, x):
# 전체를 순회하는 for문
# 최선의 경우 O(1), 최악의 경우 O(n)
# 시간 복잡도는 최악의 경우를 따른다.
for i in range(len(A)):
if A[i] == x:
return i
return -1
if __name__ == '__main__':
A = [1, 2, 3, 4, 5, 6, 7, 8, 9]
print(linear_search(A, 5))
linear_search 함수는 A라는 리스트를 입력으로 받고, x라는 정수를 입력으로 받는다.
그리고 A 리스트의 각 원소를 순회하면서 x와 같은지 확인한다.
만약 x와 같은 원소가 있다면 해당 원소의 인덱스를 반환하고, 없다면 -1을 반환한다.
최선의 경우는 x가 A의 첫 번째 원소와 같고, 첫 번째 원소를 확인하고 바로 반환하면 되므로 O(1)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최악의 경우는 x가 A의 마지막 원소와 같고, 마지막 원소까지 확인해야하므로 O(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이러한 방법을 선형 검색이라고 부르고 O(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선형 검색은 입력 시퀀스의 정렬 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잘 동작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효율적이지 않고 주어진 배열이 정렬되어 있다는 장점을 전혀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시퀀스가 정렬되어 있다면 어떻게 검색을 할 수 있을까?
def binary_search(A, x):
# A는 정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 시작 인덱스
low = 0
# 끝 인덱스
high = len(A) - 1
# low가 high보다 작거나 같을 때까지 반복한다.
while low <= high:
# 중간 인덱스
mid = (low + high) // 2
# 중간 인덱스의 원소가 x와 같다면 mid를 반환한다.
if A[mid] == x:
return mid
# 중간 인덱스의 원소가 x보다 크다면
elif A[mid] < x:
# 중간 인덱스의 다음 인덱스부터 high까지 탐색한다.
low = mid + 1
else:
# 중간 인덱스의 이전 인덱스부터 low까지 탐색한다.
high = mid - 1
return -1
if __name__ == '__main__':
customer_id = [1, 2, 4, 3, 9, 6, 7, 10, 5, 8]
customer_id.sort()
print(binary_search(customer_id, 3))
binary_search 함수는 A라는 리스트를 입력으로 받고, x라는 정수를 입력으로 받는다.
이떼 binary_search로 넘겨주는 A는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중간값을 활용해 탐색 범위를 반으로 줄여나가는 방법으로 탐색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진 검색이라고 부르고 O(log 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이진 검색의 시간 복잡도는 O(log n)이지만, 이진 검색을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서 O(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질 수도 있다.
이제 코드의 시간을 측정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자.
import random
import time
def linear_search(A, x):
# 전체를 순회하는 for문
# 최선의 경우 O(1), 최악의 경우 O(n)
# 시간 복잡도는 최악의 경우를 따른다.
for i in range(len(A)):
if A[i] == x:
return i
return -1
def binary_search(A, x):
low = 0
high = len(A) - 1
while low <= high:
mid = (low + high) // 2
if A[mid] == x:
print(f"이진 검색으로 원소를 찾았습니다! : {mid}")
return
elif A[mid] < x:
low = mid + 1
else:
high = mid - 1
print("이진 검색으로 원소를 찾지 못했습니다!")
return
def run_small_search_test():
customer_id = [1, 2, 4, 3, 9, 6, 7, 10, 5, 8]
customer_id.sort()
if linear_search(customer_id,3) != -1:
print(f"선형 검색으로 원소를 찾았습니다!")
else:
print(f"선형 검색으로 원소를 찾지 못했습니다!")
if binary_search(customer_id,3) != -1:
print(f"이진 검색으로 원소를 찾았습니다!")
else:
print(f"이진 검색으로 원소를 찾지 못했습니다!")
def run_large_search_test(size, n):
sequence = []
for i in range(size):
sequence.append(random.randrange(1,size))
sequence.sort()
# 검색 시간 측정 시작
start = time.time()
binary_search(sequence,n)
end = time.time()
print(f"{end - start:.5f} sec")
if __name__ == '__main__':
run_large_search_test(100000,36543)
run_large_search_test(1000000, 36543)
run_large_search_test(10000000, 36543)
# 이진 검색으로 원소를 찾았습니다! : 36423
# 0.00003 sec
# 이진 검색으로 원소를 찾지 못했습니다!
# 0.00004 sec
# 이진 검색으로 원소를 찾았습니다! : 36598
# 0.00006 sec
(편의상 초단위로 하겠다.)
코드를 살펴보면 입력값이 100000에서 크기가 10배씩 늘어나지만 결과 값은 겨우 0.00001초 정도 차이가 난다.
이진 검색이 얼마나 효율적인지 보여주고 있다.
분할 정복 이해하기
분할 정복 접근 방법의 핵심 이론은 매우 단순하고 직관적이다. 주어진 문제가 규모가 커서 한 번에 해결하기 힘들다면 이를 작은 문제로 나누어서 해결하는 방식이다. 부분 문제로 나누는 작업을 반복하여 그 해답을 찾고, 다시 그 해답을 합쳐서 처음 문제에 대한 해답을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주어진 문제를 분할 정복으로 해결하려면 다음과 같은 세 단계가 필요하다.
- 분할(Divide) : 주어진 문제를 동일한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여러 부분 문제로 나눈다.
- 정복(Conquer) : 부분 문제를 각각 해결한다.
- 결합(Combine) : 부분 문제의 해답을 합쳐서 원래 문제의 해답을 구한다.
하지만 앞서 보았던 이진 검색은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특별한 형태이다. 왜냐하면 이진 검색은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세 단계 중에서 1단계만 수행하고 2단계와 3단계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작은 시퀀스 내에서 정답을 찾을 수 없다면 전체 시퀀스에서도 찾을 수 없다. 즉 전체의 일부에서 구한 해답이 전체에서 구한 해답과 같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인 분할 정복 접근 방법에서 필요한 결합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분할 정복 정렬 알고리즘
1960년대 초기의 컴퓨터 제조업체는 CPU가 수행하는 작업 중 25%가 정렬에 사용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후로 컴퓨팅 환경은 크게 변했지만 오늘날에도 정렬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병합 정렬
병합 정렬은 가장 잘 알려진 알고리즘으로 1940년대에도 사용되었던 기록이 있다. 그때 당시에는 컴퓨터가 수백 바이트의 메모리만을 사용했기 때문에 정렬에 사용되는 메모리가 매우 중요했다.
병합 정렬은 간단한 아이디어로 정렬을 수행한다. 즉 많은 원소로 구성된 전체 집합을 작은 크기의 부분집합으로 나누어 각각을 정렬하고, 정렬된 부분집합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 순서를 유지하면서 합치는 방식이다.
코드를 작성하고 분석해보자.
def merge_sort(seq):
# 리스트의 길이가 2보다 작으면 정렬할 필요가 없다.
if len(seq) < 2:
return seq
# 리스트를 반으로 나눈다.
mid = len(seq) // 2
# 재귀적으로 정렬한다.
left = merge_sort(seq[:mid])
right = merge_sort(seq[mid:])
# 출력해보기
print(f"left : {left}")
print(f"right : {right}")
return merge(left, right)
def merge(left, right):
result = []
start_left = 0
start_right = 0
# 왼쪽과 오른쪽 리스트를 비교하면서 작은 값을 결과 리스트에 추가한다.
while start_left < len(left) and start_right < len(right):
if left[start_left] < right[start_right]:
result.append(left[start_left])
start_left += 1
else:
result.append(right[start_right])
start_right += 1
# 왼쪽 리스트에 남은 원소를 결과 리스트에 추가한다.
while start_left < len(left):
result.append(left[start_left])
start_left += 1
# 오른쪽 리스트에 남은 원소를 결과 리스트에 추가한다.
while start_right < len(right):
result.append(right[start_right])
start_right += 1
return result
if __name__ == '__main__':
print(f"merge_sort : {merge_sort([1, 2, 4, 3, 9, 6, 7, 10, 5, 8])}")
# 결과 확인
left : [1]
right : [2]
result : [1, 2]
left : [3]
right : [9]
result : [3, 9]
left : [4]
right : [3, 9]
result : [3, 4, 9]
left : [1, 2]
right : [3, 4, 9]
result : [1, 2, 3, 4, 9]
left : [6]
right : [7]
result : [6, 7]
left : [5]
right : [8]
result : [5, 8]
left : [10]
right : [5, 8]
result : [5, 8, 10]
left : [6, 7]
right : [5, 8, 10]
result : [5, 6, 7, 8, 10]
left : [1, 2, 3, 4, 9]
right : [5, 6, 7, 8, 10]
result : [1, 2, 3, 4, 5, 6, 7, 8, 9, 10]
merge_sort : [1, 2, 3, 4, 5, 6, 7, 8, 9, 10]
알고리즘의 동작을 세세하게 설명하기 보다는 배열을 중간값을 통해 반복해서 쪼개어 나가는 것을 머릿속에 그려보도록 하자. merge라는 함수의 동작은 단순히 두개의 리스트를 비교하면서 작은 값을 결과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이다. 이 때 분할되었던 리스트는 결합되어 **정렬된 상태(정복)**로 반환된다.
알고리즘의 결과는 잘게 쪼개어졌을 때의 left, right 입력과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재귀이기 때문에 어렵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미 반으로 나눈 리스트를 일부 정렬하고 다시 정렬하는 것을 떠올리자.
병합 정렬 실행 시간
- 최선의 경우 : O(n log n)
- 평균 : O(n log n)
- 최악의 경우 : O(n log n)
퀵 정렬
퀵 정렬은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대표적인 예이다. 퀵 정렬은 리스트 안에 있는 한 요소를 **기준(pivot)**으로 잡는다. 그리고 기준보다 작은 요소는 왼쪽, 큰 요소는 오른쪽으로 모은다. 이렇게 기준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는 것을 분할이라고 한다. 분할된 왼쪽과 오른쪽 리스트에 대해 재귀적으로 퀵 정렬을 수행한다. 이렇게 리스트를 계속 반으로 나누어 정렬하다 보면 리스트의 크기가 0이나 1이 되어 더 이상 정렬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 때 리스트는 이미 정렬된 상태이다.
이제 코드를 보면서 이해하도록 하자.
def quick_sort(array):
print(f"array : {array}")
if len(array) <= 1:
return array
pivot = array[0]
print(f"pivot : {pivot}")
tail = array[1:]
left_side = [x for x in tail if x <= pivot]
print(f"left_side : {left_side}")
right_side = [x for x in tail if x > pivot]
print(f"right_side : {right_side}")
return quick_sort(left_side) + [pivot] + quick_sort(right_side)
if __name__ == '__main__':
print(f"quick_sort : {quick_sort([1, 2, 4, 3, 9, 6, 7, 10, 5, 8])}")
array : [1, 2, 4, 3, 9, 6, 7, 10, 5, 8]
pivot : 1
left_side : []
right_side : [2, 4, 3, 9, 6, 7, 10, 5, 8]
array : []
array : [2, 4, 3, 9, 6, 7, 10, 5, 8]
pivot : 2
left_side : []
right_side : [4, 3, 9, 6, 7, 10, 5, 8]
array : []
array : [4, 3, 9, 6, 7, 10, 5, 8]
pivot : 4
left_side : [3]
right_side : [9, 6, 7, 10, 5, 8]
array : [3]
array : [9, 6, 7, 10, 5, 8]
pivot : 9
left_side : [6, 7, 5, 8]
right_side : [10]
array : [6, 7, 5, 8]
pivot : 6
left_side : [5]
right_side : [7, 8]
array : [5]
array : [7, 8]
pivot : 7
left_side : []
right_side : [8]
array : []
array : [8]
array : [10]
quick_sort : [1, 2, 3, 4, 5, 6, 7, 8, 9, 10]
기존에 C++로 구현하는 코드는 partition이라는 함수를 따로 구현해준다. 하지만 파이썬으로 구현하면 굉장히 단순해진 퀵 정렬 코드를 볼 수 있다.
짧은 파이썬 코드는 피벗을 중간 인덱스의 값으로 받지 않고 0번째 인덱스를 피벗으로 받는다. 그리고 해당 피벗이 정해진 후 왼쪽으로 피벗보다 작은 값을 정렬하고, 오른쪽으로는 피벗보다 큰 값을 정렬한다. 이렇게 정렬된 왼쪽과 오른쪽 리스트에 대해 재귀적으로 퀵 정렬을 수행한다.
결과를 살펴보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선택한 피벗을 확인 하고 양쪽으로 정렬 후 다시 피벗과 합치는 과정을 반복한다.
퀵 정렬 실행 시간
- 최선의 경우 : O(n log n)
- 평균 : O(n log n)
- 최악의 경우 : O(n^2)
병합 정렬과 퀵 정렬의 목적
두 정렬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같다. 즉 원본 입력 배열을 작은 크기의 부분 배열로 나누고,
각 부분 배열을 정렬한 후, 그 결과를 합쳐서 전체 정렬된 배열을 생성한다.
다만, 여기서 퀵 정렬의 핵심 연산은 병합이 아니라 분할이다.
- 병합 정렬 : 대용량 데이터를 정렬하는 것.
- 퀵 정렬 : 평균 실행 시간을 줄이는 것.
Dynamic Programming
동적 계획법은 분할 정복 패러다임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특정 분류 문제에 사용된다. 동적 계획법은 매우 복잡하고 창의력, 추상적 개념을 시각화 하는 능력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서 나 또한 어렵게 느껴진 방법이다.
기존의 분할 정복과 그리디 알고리즘은 특정 상황에서는 굉장히 효과적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지 못할 수 있다.
동적 계획법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적 계획법이 사용되는 몇 가지 예
- 조합(특정 기준을 만족하는 시퀀스의 조합 또는 순열의 개수 구하기)
- 문자열과 시퀀스(편집 거리, 최장 공통 부분 시퀀스, 최장 증가 부분 시퀀스)
- 그래프(최단 경로, 최소 신장 트리)
- 머신러닝(최적화 문제, 음성 인식, 얼굴 인식)
피보나치 수열
fibonacci = [0, 1, 1, 2, 3, 5, 8, 13, 21, 34, 55,...]
피보나치 시퀀스(수열)의 일부이다. 피보나치 수열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가진다.
- f(0) = 0, f(1) = 1
- 세 번째 항부터는 바로 앞의 두 항의 합이다.
위의 규칙을 바탕으로 피보나치 수열이 다음과 같은 재귀적인 관계식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bonacci(n) = fibonacci(n-1) + fibonacci(n-2)
피보나치 수열은 다음과 같이 구현할 수 있다.
def fibonacci(n):
if n <= 1:
return n
return fibonacci(n-1) + fibonacci(n-2)
위와 같은 방식을 하향식 해법(Top-Bottom Solution)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살펴보면 부분 문제를 풀기 위해 중복된 연산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중복되는 부분 문제
예를 들어 f(2)는 f(4)와 f(3)을 구하는 과정에서 중복되어 나타난다. f(4) = f(3) + f(2)이고, f(3) = f(2) + f(1)이기 때문이다.
최적 부분 구조
여러 부분 문제가 서로 완전히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f(2)의 해를 구해야 할 경우, f(3)과 f(4) 중에서 어느 것을 구하기 위해 필요한지에 상관없이 같은 방식의 연산을 수행하면 된다.
Memoization(암기) : 하향식 해법(Top-Bottom Solution)
동적 계획법의 핵심은 중복되는 부분 문제를 한 번만 풀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을 사용한다.
메모이제이션은 한 번 계산한 결과를 메모리 공간에 메모하는 기법이다. 동일한 계산을 반복해야 할 때 메모이제이션을 이용하면 중복된 계산을 피할 수 있다.
아래의 코드는 피보나치를 메모이제이션을 활용하여 구현한 것이다.
d = [0] * 1000
def fibonacci(n):
if n <= 1:
return n
if d[n] != 0:
return d[n]
d[n] = fibonacci(n-1) + fibonacci(n-2)
return d[n]
d라는 캐시에 계산한 값을 저장해두고, 다음 번에 같은 계산을 수행할 때는 캐시에 저장된 값을 반환한다.
Tabulation(타뷸레이션) : 상향식 해법(Bottom-Top Solution)
앞서 보았던 메모이제이션이 하향식 접근 방법이라면, 타뷸레이션은 상향식 접근 방법이다. 동적 계획법은 메모이제이션과 타뷸레이션 모두에게 적용되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타뷸레이션을 더 많이 의식해서 사용한다.
아래의 코드는 피보나치를 타뷸레이션을 활용하여 구현한 것이다.
def fibonacci(n):
cache = [0 for index in range(n+1)]
cache[0] = 0
cache[1] = 1
for index in range(2, n+1):
cache[index] = cache[index-1] + cache[index-2]
return cache[n]
타뷸레이션의 장점
- 메모리 사용량 관점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 가능한 모든 상태를 기록하는 룩업 테이블을 생성 할 수 있다.
메모이제이션 VS 타뷸레이션
메모이제이션으로 해결할 수 있는 모든 문제는 타뷸레이션으로도 재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반대도 당연히 가능하다.
우원 /
우원입니다.